• 구름조금동두천 22.7℃
  • 구름많음강릉 21.4℃
  • 구름많음서울 23.0℃
  • 흐림대전 22.5℃
  • 흐림대구 26.0℃
  • 구름많음울산 23.9℃
  • 구름많음광주 24.2℃
  • 흐림부산 26.0℃
  • 구름조금고창 21.6℃
  • 구름조금제주 27.4℃
  • 맑음강화 22.9℃
  • 흐림보은 21.6℃
  • 흐림금산 21.4℃
  • 구름많음강진군 26.1℃
  • 구름많음경주시 25.2℃
  • 흐림거제 25.4℃
기상청 제공

스페셜

전체기사 보기

살아있는 모든 것에는 존재의 의미가 있다

『흙의 반란이 시작됐다 7-1』

무성한 풀은 흙을 건강하게 가꾸는 유기물 흙은 유기물로 키우는 것이다. 그러면 흙은 살아난다. 아니 원래 살아 있던 흙을 더욱 건강하게 만들 수 있다. 풀이 무성하게 자라고 있는 휴경 밭을 예로 들어 보자. 풀이 무성하다는 것은 흙 위든 흙속이든 유기물이 듬뿍 보급되고 있다는 뜻이다. 다시 말해 자연이 회복되어 흙이 비옥해지고 있다는 증거다. 이것을 보고 배우면 흙을 살릴 수 있다. 그렇다고 유기물을 보급하면 당장 효과를 보고 흙이 살아난다는 말은 아니다. 유기물에 따라서 분해되기 쉬운 것, 분해되기 어려운 것이 있어서 그렇다. 흙에 들어온 유기물을 분해하는 주인공은 흙속의 미생물이나 지렁이와 같은 동물이다. 이들은 질소를 먹고 몸을 튼튼하게 키워서 흙에 들어온 유기물을 효율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만약 흙속에 들어온 유기물 속에 질소가 적게 들어있다면 흙속의 미생물과 동물이 흡수할 질소가 충분히 못하므로 몸을 크게 만들지 못할 것이고, 그러면 이들은 유기물을 완벽하게 분해할 수 없게 된다. 이런 흙에서 자라는 작물은 영양실조를 일으켜 잎이 누렇게 된다. 밀짚은 흙에 넣으면 수년 동안 질소를 방출하지 않다가-다시 말하면 밀짚은 서서히 분해되면서 필요한 질소를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