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1.5℃
  • 구름조금강릉 26.4℃
  • 맑음서울 22.6℃
  • 구름조금대전 26.5℃
  • 맑음대구 29.0℃
  • 맑음울산 22.4℃
  • 맑음광주 24.4℃
  • 맑음부산 21.0℃
  • 맑음고창 21.6℃
  • 맑음제주 20.9℃
  • 구름많음강화 18.5℃
  • 맑음보은 24.9℃
  • 맑음금산 25.3℃
  • 구름조금강진군 25.1℃
  • 맑음경주시 24.5℃
  • 맑음거제 21.4℃
기상청 제공

스페셜

전체기사 보기

흙의 반란이 시작됐다(2)

윤영무 기자가 간다 소멸하는 지방재생을 위한 12가지 경제원칙 89

20세기 초 미국에 화학비료가 도입되자 흙의 생태계를 파괴한다면서 반기를 들었던 미국의 토양과학자 플랭클린 히람 킹(1848~1911)은 113년 전인 1909년 미국을 떠나 화학비료 없이 4천 년간 지속가능한 농사를 대대손손 지어온 조선의 자연생태농업을 답사하고 돌아갔다. 미국은 그의 예언대로 흙속의 미네랄이 고갈되고 병충해가 들끓기 시작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 농무부는 1929년 ‘동양식물원정대’를 파견해 뿌리에서 스스로 질소비료를 만드는 콩 종자를 조선에서 무려 3천점 이상을 수집해 돌아오게 함으로써 화학 비료와 농약이 필요 없는 새로운 작물 개발을 꿈꿨다. ‘농업의 황금기’를 거친 뒤 미네랄이 고갈되고 병충해가 닥친 미국 조선 고종 26년(1889년). 고종은 식량난으로 식량 수출을 금지하는 방곡령(防穀令)을 선포했다. 하지만 고종 21년 조선과 통상조약을 맺고 있었던 미국은 조선이 방곡령을 선포한 그해 워싱턴 DC에 농무부를 설립하고 식량 증산 준비에 박차를 가했다. 그리고 20세기 초부터 본격화된 화학비료 농법에 힘입어 1910년~1914년 동안 농업의 황금기(golden age)를 구가하며 세계 최대 농산물 생산국과 수출국으로써의 위상을 확립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