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0.3℃
  • 맑음강릉 1.1℃
  • 맑음서울 0.8℃
  • 맑음대전 2.2℃
  • 맑음대구 2.7℃
  • 맑음울산 2.9℃
  • 맑음광주 1.4℃
  • 맑음부산 3.2℃
  • 구름조금고창 0.9℃
  • 구름많음제주 4.7℃
  • 맑음강화 1.5℃
  • 맑음보은 -2.7℃
  • 맑음금산 -0.7℃
  • 맑음강진군 3.8℃
  • 맑음경주시 2.7℃
  • 맑음거제 3.7℃
기상청 제공

사회

소아 사시, 부모의 세심한 관심 필요



우리가 어떤 사물을 볼 때는 양쪽 눈을 함께 사용해야 입체적으로 볼 수 있는데 사시가 생기면 시각 기능에 장애가 생길 수 있다. 또 한쪽 눈만 주로 사용하게 될 경우 다른 쪽의 눈 발달이 잘 이뤄지지 않아 안경으로도 시력이 교정되지 않게 되어 약시까지 초래할 수 있다.


 소아 100명 중 2명에게서 발견되는 '사시'는 각 유형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3세 이전의 어린이에서도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문제는 아이들 스스로 본인의 신체 이상을 정확히 알아차리기 어렵다는 점이다


임기환 이대목동병원 안과 교수(사진)는 "부모의 깊은 관심만이 해답이다. 만약 아이의 시선이 잘 고정되지 않거나, 밝은 빛에 있을 때 유난히 눈부셔하고 눈을 자주 찡그리는 경우, 사물을 볼 때 고개를 자주 기울이면 사시를 의심해보야 한다. 육안상 아이의 눈에 문제가 없더라도 시력이 완성되는 8세까지는 일 년에 한 번씩 안과 검진을 받아 보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이어 "조기에 치료되지 않으면 시력 문제뿐만 아니라 남다른 외모로 인한 심리적인 위축까지 초래할 수 있다. 생후 6개월 전에 나타난 선천성 내사시는 적어도 2세가 되기 전 치료하는 것이 좋고, 사시와 자주 동반되는 약시의 경우 어릴수록 치료 효과가 좋다”고 덧붙였.

 

사시 치료는 두 눈의 시각 기능을 회복하고, 위치를 올바르게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시행하며, 크게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다. 비수술적 치료는 시력이 나쁜 눈만을 사용하도록 정상적인 눈을 안경이나 밴드로 가려 시력을 회복하는 방법을 시행하며, 굴절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이를 교정하는 안경을 착용한다다만, 수술 치료는 비수술적 치료로 사시가 해결이 안 되거나 사시의 정도가 심하다고 판단될 때 고려된다.

 

임 교수는 사시 수술은 환자의 연령과 질환의 진행 상태, 시기능을 고려하여 수술이 결정된다. 수술은 안구에 있는 6개의 근육 중 사시의 원인이 되는 근육을 찾아 눈이 올바르게 위치할 수 있도록 근육 일부를 강화시키거나 약화시키는 방법으로 이뤄지며, 사시각이 크거나 재발하는 경우에는 이차수술을 통해 남은 사시를 교정하기도 한다. 사시가 수술 후 재발할 수 있으므로 수술 후에도 세심한 관리와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소아 사시 자가진단법 (제공: 이대목동병원)

1. 두 눈의 바라보는 위치가 다르고, 시선 고정이 잘 안 된다.

2. 눈 초점이 풀려 보인다.

3. 햇빛 등 밝은 빛을 보면 유난히 눈부셔하고 눈을 찡그리는 횟수가 늘어난다.

4. 사물을 볼 때 고개를 자주 기울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