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1℃
  • 구름조금강릉 -2.0℃
  • 맑음서울 -0.6℃
  • 맑음대전 -0.1℃
  • 구름조금대구 1.7℃
  • 맑음울산 0.6℃
  • 맑음광주 0.7℃
  • 맑음부산 2.2℃
  • 구름많음고창 -0.5℃
  • 흐림제주 4.5℃
  • 맑음강화 -2.3℃
  • 구름조금보은 -2.3℃
  • 맑음금산 -1.6℃
  • 맑음강진군 1.5℃
  • 맑음경주시 1.0℃
  • 맑음거제 1.5℃
기상청 제공

사회

생전에 모친이 수령한 노령연금 추징하겠다?

어머니의 사망신고를 이행하기 위해 주민등록부상의 생년월일을 정정하였는데, 생전에 모친이 수령한 노령연금을 국민연금공단이 추징한다면 어떻게 될까?

 

서울 광진구에 사는 A씨는 얼마 전 황당한 일을 당했다. 어머니의 사망신고 과정에서 어머니의 주민등록상의 생년월일과 가족관계등록부상의 생년월일이 일치하지 않는 것을 알고 사망신고 절차상 편의를 위해 주민등록부상 생년월일을 가족관계등록부상 생년월일로 정정한 후 사망신고를 했는데, 국민연금공단으로부터 이미 지급한 노령연금 7개월분(1,668,240)에 대하여 환수 결정을 내린 것이다.

 

결국 A씨는 국민권익위에 고충민원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권익위는 A씨의 어머니와 가족들은 주민등록상의 생년월일을 정당한 생년월일로 평생을 살아 왔고, 생년월일 오류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국민연금을 가입하고 노령연금을 수령하여 당사자와 유족들에게 고의 또는 중과실의 귀책사유가 있다고 볼 수 없다고 봤다.

 

A씨 어머니의 호적부와 주민등록상의 생년월일이 불일치하게 된 시점이 1975(당시 어머니의 나이는 21)으로 당시에는 공부관리 전산화 이전으로 수기 오류 등 공무원의 잘못으로 발생한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조사 된다고 밝혔다.

 

아울러 사망신고를 위한 공부상 번호 정정에서 비롯된 국민연금공단의 노령연금 환수처분이 노령연금을 환수를 해야 할 공익상 필요가 유족이 입게 될 불이익을 정당화 할 만큼 강한 경우라고 할 수 없는 점 등을 고려해 볼 때, 국민연금공단이 돌아가신 어머니가 생전에 지급받은 노령연금에 대하여 유가족에게 환수토록 한 처분을 취소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했다.

 

국민권익위 관계자는 주민등록부와 가족관계등록부의 생년월일 불일치로 발생할 수 있는 유사한 민원 사례가 없는지 살펴보고 적극 해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