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편에 이어
대부분 대유행병은, 동물로부터 출현하는 동물원성 감염 사건을 시작으로 일어났는데, 실험실 개입을 의심하는 이유는 있는가? 아마도 여러분이 모든 인간의 역사를 본다면 그런 의문을 가질 수 있을지 모르겠다. 분자생물학이 출현했을 때가 비교하기에 좋은 시기인데 이때부터 과학자들이 질병을 일으킬 가능성이 커졌다.
1977년, 대 유행병은 연구 행위와 관련이 있었다. 반면에, 그 뒤에 발생했던 다른 2개의 대 유행병, AIDS와 2009년의 H1N1 돼지 인플루엔자는 그렇지 않았다. 덧붙이자면, 과거에 없었던 진기한 사건, 이를테면 어떤 유행병 같은 게 생기면, 왜 그런 병이 생겼는지에 대한 잠재적 요인을 모두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된 것이다. 마치 항공기 추락 사건을 조사하는 것처럼 말이다.
항공기가 비행할 때는 안전하지만 추락했을 때, 우리는 기계적 결함, 조종사의 실수가 늘 참사로 이어졌다고, 테러는 드문 일이라는 식으로 말하지 않는다. 오히려 우리는 아주 드문 경우의 수를 포함해, 모든 가능성 있는 경로를 조사한다. 그래야 우리는 유사한 사건을 방지할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아마도 가장 큰 질문은 발발 장소에 관한 것이리라. 바이러스와 가장 가까운 친척은 천 마일이나 떨어져 있는데, 앞서가는 연구 기관과 가까운 장소에서 발발(勃發)했으니 이를 어떻게 해석하면 좋을지였다.
때때로 장소를 둘러싸고 일어나는 호기심은 ‘그거야 바이러스가 있는 곳에, 실험실이 생기는 게 아니냐?’고 설명하면 사라졌다. 그러나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는 1956년 이래 다른 이름으로, 농업과 환경의 미생물 연구를 수행해 오고 있다. 연구소는 업그레이드되어 SARS 이후 오로지 코로나바이러스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우한은 뉴욕의 인구보다 더 많은 인구를 가진 거대 도시로, 박쥐 동굴 가까이 있는 시골 전초기지가 아니다.
Dr. Shi는 2019년 12월 발발했을 때 자신은 놀랐다고 말했다. 왜냐하면, “자신은 이런 종류의 것이 중국 한가운데 우한에서 일어나리라고는 전혀 생각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녀의 실험실에서는 박쥐 코로나바이러스 노출 가능성이 낮은 사람이 필요할 때, 우한 거주자를 고용했는데 “거주자의 도시 배경 때문에 박쥐와의 접촉 가능성이 아주 낮다는 점에 주목했다,”고 했다.
어쨌든, 장소 자체는 역시 증거가 아니다. 연구 행위와 연루되었음을 보여주는 그럴듯한 시나리오를 보면 (장소와 관련된) 어떤 다른 선택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지난주, Fred Hutchinson 암 연구센터의 부교수인 Jess Bloom이 내게 이렇게 말했다. “부분적이지만 게놈보관소에서 옮겨온 초기 우한 유전자 일습(一襲)의 유전자 서열을 찾아 분석했을 때 SARS-CoVid-2는 해산물 시장에서 발생하기 전에 이미 우한에서 퍼져나가고 있었다는 현존하는 상당한 증거를 찾을 수 있다”는 거였다.
중국 과학자들의 초기 보고서와 더 최근의 WHO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12월 8일 지금까지 가장 초기 환자로 인정된 사람을 포함하여 더 많은 초기 환자들이 해산물 시장과 전혀 관련이 없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러니 해산물 시장은 유행병이 발생한 최초의 장소가 아니었을 수 있다. 그러니까 발생 장소가 다른 어떤 장소에서 시작되었을 수도 있고 단순히 우한이란 도시가 워낙 크기 때문에, 환자가 발견되었다는 말도 일견 타당하게 들린다.
중국 전역에서 온, 특히 야생 동물과 박쥐 동굴과 가까운 지역에서 온 혈액 검사 은행(testing blood banks)은 도움이 될 터이지만, 제한적인 예외를 제외하고 중국 정부는 그러한 연구를 수행하지 않았고-했다손 치더라도 조사 결과의 공유를 허락하지 않았다. 그렇게 많은 증거를 갖고 내놓지 않은 상황에서 Covid-19의 기원에 관해 어떤 것이든 확실하게 말하기는 어렵다. 아마 진실성 있는 조사라도 도전에 직면할 것이다. 어떤 발병(發病)에[ 대해서는 기원을 추적해 본 적도 없었다.
실험실 유출 가능성에서 배워야 할 교훈
비록 우리가 대답을 거부당할지라도, 우리는 교훈을 배울 수 있다. 아마 가장 큰 교훈은 어찌 됐든, 우리에게 박쥐 코로나바이러스가 발생할 예정이었다는 것이었으며, 박쥐 코로나바이러스가 인간을 전염시킬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는 연구는 경고였지만 그것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과학자들과 정부 관료들은 우리가 야생에서, 그리고 실험실에서 박쥐와 바이러스를 어떻게 연구대상으로 삼을 것인지에 대해 득실을 따져 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대 유행병을 막기 위해서 다른 공중 보건에 투자하는 게 더 많은 일을 해내게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위협적인 병원균이 창궐하고 있다고 알려진 곳을, 엄중히 감시하고, 우리의 보건기관들이 재빨리 그리고 투명하게 대 유행병의 첫 번째 신호에 대응하고 준비하도록 하는 게 연구보다 더 효율적일 수 있는 것이다.
연구는 반응과 예측에서 반응 쪽에 무게가 두어져야 한다. 이 두 가지는 겹치는 것이진 모르지만 동일(同一)한 건 아니다. 동굴에서나 배양접시에서 위험한 바이러스를 찾는 일은 유용한 일일 수도 있지만, 우리가 피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곰을 쿡쿡 찔러 쓸데없는 재난을 맞는 것과 같은 일이다. 박쥐 야생 연구는 더 주의 깊게 이루어져야만 했다. 박쥐 바이러스는 BSL-2 실험실에서 연구가 진행되어서는 안 된다. 그리고 BSL-3 실험실에서의 연구는 가장 엄중한 주의하에서만 이루어져야 한다. 박쥐는 실험실에서 심각한 위협으로 간주 되어야 한다. 인간과 박쥐와의 상호영향이 무엇인지는 엄중한 규제와 감시 아래에서 찾아지지 않으면 안 된다.
오랫동안 실험실 사고를 취재해온 탐사기자 Alison Young은 2015년에서 2019년까지 연방 정부가 그 위험성 때문에, 규제해온 병원체로 인한 사고가 450건 이상이 있었다고 썼다. 이와 비교될 만한 사고 비율이 영국의 실험실-연구에서도 있는데 그렇다고 해서 실험실 사고가 늘 일반에게 알려지는 것도 아니었다.
일부 과학자들은 무심코 대 유행병의 스파크를 일으키게 하는 병원체의 연구를 한다면, 더 엄격한 통제와 강력한 위험-수익 분석을 부과하라고 제안했다. 일부 연구는 여전히 연구할 가치가 있을지 모르는 것이라면, 그러한 실험실을 인구가 밀집한 도시 밖으로 옮기라는 제안이 있었다.
실험실 안전과 병의 발발(勃發)을 감시하는 일을 포함한 이러한 문제는 중국과의 협조가 필수적이다. 일부는 중국의 대 유행병에 대한 반응과 그 반응이 유행병으로 이어지게 했을지도 모르는 (중국의) 과학적 관행을 비난하는 것은 중국과의 협조를 위태롭게 할 수 있다는 주장도 한다. 화가 난 기명기사(記名記事)들이 이미 비협조적인 중국 관리를 어떻게 더 비협조적으로 만드는지 말하기는 어렵다.
이러한 주장들이 특히 만연하고 있는 반-아시아 인종차별을 고려할 때 다른 나라에서 온 과학자들을 악마화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며 사람들이 경계하는 건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어째서 이 같은 사건을 입막음으로 영구화해 버리려고 하는 게 자신들에게 유리하다고 보는 걸까?
1979년 소련에서 12명의 사상자를 낸 탄저균과 함께 실험실 사고가 일어난 뒤, 지도자급의 서방 과학자들은, 전부가 거짓으로 판명된 소련 정부의 변명을 받아들였다. 그렇다고 해서 권위주의 국가에서 과학자들에게 뭐 좋은 일이 있었던가, 그런 건 고사하고 더 나은 안전 기준이 마련됐는가? 그렇지는 않다. 그러나 앞으로 나아가는 더 나은 길이 있다면 상호 이익과 호혜에 기반한 진실한 글로벌 협력의 길이다. 지금은 안 그런 척하고 있지만, 중국 정부 또한, 다시-SARS 역시, 중국에서 시작됐다-
이런 일을 겪기를 원하지 않고 있다는 걸 우리는 가정해야만 한다. 이는 개인의 야심보다 공익을 앞세운다는 것을, 그리고 생체의학의 경이로운 파워에도 불구하고, 연구 또한, 위험이 수반된다는 사실을 시인하는 걸 의미한다. 이를 위해 정부 관료들과 과학자들은 큰 그림을 볼 필요가 있다. 그저, 당장 곤혹스러움을 피하려 하지 말고, 화친(和親)과 진실을 추구하자. 중국을 비난하는 것을 뛰어넘어 협조 체계를 개발하자. 왜냐하면, 제기된 문제들이 진실로 세계적인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음에 일어날 큰일도 정말이지 작고 단순한 세부적인 많은 일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인식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