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문재인 대통령이 전날(13일) 오전 용산구 소재 모 영화관에서 영화 ‘택시운전사’를, 1980년 5월 광주의 참상을 전세계에 알렸던 故 위르겐 힌츠 페터 독일 기자의 부인 에델트라우트 브람슈테트 여사와 함께 관람했다고 지난 13일 밝혔다.

문 대통령은 故 힌츠 페터 씨의 부인 에델트라우트 브람슈테트 씨에게 “광주에서 민주화운동이 벌어지던 당시, 다른 지역 사람들은 그 진실을 전혀 알지 못했다. 그 사실을 보도한 기자들은 모두 해직 당하거나 처벌을 받아야 했다”며 “남편인 故 위르겐 힌츠 페터 씨 덕분에 우리가 그 진실을 알게 됐다”고 감사의 뜻을 전했다.
이에 에델트라우트 브람슈테트 여사는 “진실을 알리는 것이 자신의 임무라고 남편은 말하곤 했다. 대한민국 광주가 인생에 있어서 매우 큰 부분을 차지한다고 했는데, 짧은 다큐가 아닌 커다란 스크린에서 영화로 만들어진 걸 안다면 무척 기뻐했을 것이다”며 “앞으로도 젊은이들이 민주주의란 저절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걸 깨달았으면 좋겠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은 “많은 이들이 광주에 대한 부채감을 가지고 있었다. 이후 부산의 민주화운동이란 것도 사실 광주의 실상을 알리는 것이었다. 그때는 광주에 대한 유인물만 돌려도 처벌받던 시절이었다”며 그 시절을 회상했다.
그러면서 “그때 우리들은 힌츠 페터 기자의 영상을 알게 되었고, 광주 가톨릭신부님들의 도움으로 부산 가톨릭센터에서 87년 5.18 주간에 그 동영상을 많은 이들과 보게 되었다”며 “부산시민들이 광주의 실상을 본 첫 순간이었고, 결국 이것이 87년 6월 항쟁의 큰 기폭제가 되었다”면서 다시 한 번 감사의 뜻을 전했다.
이어 “아직까지 광주의 진실이 다 규명되지 못했다. 이것은 우리에게 남은 과제”라며 “이 영화가 그 과제를 푸는 데 큰 힘을 줄 것 같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광주민주화운동이 늘 광주에 갇혀있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이제는 국민 속으로 확산되는 것 같다”며 “이런 것이 영화의 큰 힘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영화를 함께 본 故 위르겐 힌츠 페터 씨의 부인은 물론 문 대통령도 영화가 끝나자 눈물을 훔쳤고, 서로 따뜻한 악수를 주고받았다.
한편, 이 자리에는 장훈 감독을 비롯해 배우 송강호 씨, 유해진 씨가 함께했다.